님, 이번 주의 한 주 시황 요약이에요. 9주차 SCFI 전주비 5% 하락한 님, 3월 1주차 미리레터가 도착했어요 📬
한 주간의 국제 물류 시황을 어려운 용어나 복잡한 수치 없이 전달해 드리는 미리레터로
매주 목요일 최신 물류 트렌드를 미리 보기 하세요 👀 |
|
|
해운
- 운임 : 9주차 SCFI 종합지수 전주비 5% 하락한 1,515pt
- 수요 : ONE·Evergreen, 아시아-남미서안 수요 성장 전망, 아시아 제조업체들의 생산기지 이전 영향
- 공급 : 1월 글로벌 정시성, 전년과 동일 수준인 51.5%
- 운영 : 프랑스 항만 노조, 3월 추가 파업 예고
|
항공
- 운임 : 전 세계 평균 운임은 APAC 지역의 상승 영향으로 전주대비 +2% 상승($2.32/kg)
- 수요 : APAC발 수요 회복세 지속, 유럽향 수요도 증가
- 공급 : 아틀라스항공(SY)과 DHL 익스프레스 합작투자 항공사인 Polar Air Cargo(PO) 운항 중단
- 운영 : de minimis 폐지는 4월로 유예됐으나, 미 세관 시스템 구축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전망
|
|
|
- 글로벌
📊 SCFI 7주 연속 하락 SCFI 지수가 전주비 5% 하락한 1,515pt를 기록했어요. 6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전월 대비 26% 감소한 수치예요. ⚠️ 트럼프 무역 정책, 컨테이너 해운 시장에 부정적 영향 예상
트럼프 정부의 공격적인 무역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을 초래하고, 컨테이너 해운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요. 함부르크 상업은행(HCB)은 트럼프 정부가 미국의 에너지와 산업 부문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탱커 및 벌크 화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상품 무역량 감소로 인해 컨테이너 해운 업계에는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어요.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강경한 관세 정책이 무역적자 해소 효과를 거두기 어렵고, 오히려 미국의 수출입 감소로 경기 침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해요. 특히, 1930년대 대공황을 야기했던 보호무역주의 사례를 들어, 유사한 경제 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에 대한 경고도 나오고 있어요.
⛔ 이스라엘, 가자 지구 인도적 지원 중단… 휴전 연장 갈등 심화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압박하기 위해 가자 지구로의 인도적 지원을 전면 중단했어요. 이는 3월 1일 종료된 1단계 협상을 연장하려는 전략으로 보이는데, 하마스는 이를 전쟁 범죄라고 강하게 반발했고, 이집트와 카타르 등 중재국들도 비판적인 입장을 내놓았어요.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미국이 제안한 중재안을 거부한 것을 비판하며, 양측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요. 이로 인해 2단계 협상이 불투명한 상황이에요. 중재안의 핵심은 이슬람 라마단과 유대교 유월절이 끝나는 4월 중순까지 1단계 협상을 연장하고, 첫날 생존 및 사망한 인질의 절반을 석방한 후, 영구 휴전이 합의되면 나머지 인질도 석방하는 것이었어요. 한편, 국제 인도주의 기구들은 인도적 지원을 협상 카드로 사용한 이스라엘 정부의 결정을 강하게 비난하고 있어요.
-
북미 📊 북미 서안·동안 SCFI 7주 연속 하락 북미 서안과 동안 SCFI가 7주 연속 하락했어요. 북미 서안은 전주비 17% 하락한 2,482pt, 동안은 전주비 11% 하락한 3,508pt를 기록했어요.
🚦 선사들, 2025년 북미향 장기계약 운임 20~30% 인상 요구… 불확실성 대비
글로벌 포워더 DSV에 따르면, '25~26년 아시아-북미 항로 장기계약(SC) 협상에서 선사들이 전년 대비 2~30% 높은 운임을 요구하고 있어요. 지난해 시황 급등에도 계약 운임이 낮게 책정됐다는 점을 고려해, 올해는 이를 방지하려는 움직임이에요. 365 Logistics에 따르면, 선사들은 대형 화주(BCO)와 협상 전에 중소·중견 화주들과 먼저 계약을 체결해 BCO들의 협상력을 낮추는 전략을 쓰고 있어요. 성수기 할증료(PSS)도 사실상 연중 운영되며 일반 운임 인상(GRI)을 대체하는 추세예요. 한편, Teampower Logistics는 일부 소매업체들이 협상을 서두르지 않는다고 지적했어요. 춘절 이후 운임 조정, 수에즈 운항 재개로 인한 공급 과잉 가능성, 트럼프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DSV는 계절상품 운송 기업들은 결국 단기간 내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내다봤어요.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산 25%·중국산 추가 10% 관세 강행
트럼프 대통령이 3월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는 추가로 1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어요. 중국산 관세는 당장은 영향이 적지만, 60%까지 인상되면 대미 수출이 80%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요. 트럼프는 과거 캐나다·멕시코의 국경 보안 조치를 이유로 관세를 유예했지만, 여전히 마약 유입이 심각하다고 지적하며 부과를 결정했어요. 블룸버그는 이로 인해 각국의 로비 활동이 강화되고, 보복 조치가 뒤따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어요.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는 응답이 60%, 미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44%였어요. 📉 미국, 2024년 4분기 경제 성장 둔화… 1분기에도 지속 전망
미국의 2024년 4분기 GDP 성장률이 2.3%를 기록하며 3분기 대비 소폭 하락했어요. 경제 성장 둔화는 올해 1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1분기 초 이례적인 한파로 인해 소매 판매와 고용이 위축된 데다, 트럼프 취임 이후 관세 영향도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한편,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2.7% 상승했어요. 이는 연준 목표치인 2%를 웃도는 수준으로, 연준은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어요. PCE 물가지수는 가계 소비 상품 및 서비스 가격 변동을 반영하는 핵심 지표로, 연준의 금리 정책 결정에도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돼요.
- 유럽
📊 북유럽 상승 전환·지중해 SCFI 7주 연속 하락
북유럽 SCFI가 전주비 7% 상승한 1,693pt, 지중해는 1% 하락한 2,594pt를 기록했어요. ⚓ 프랑스 항만 노조, 3월 추가 파업 예고… 공급망 혼잡 우려
프랑스 항만 노조가 국가연금제도 개혁을 요구하며 2월에 이어 3월에도 추가 파업을 진행할 예정이에요. 3월 18일부터 20일까지 72시간 파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3월 4일, 6일, 10일, 12일, 14일, 24일, 26일, 28일에는 각각 4시간씩 부분 파업을 예고했어요. 프랑스 산업단체 MEDEF는 이번 파업이 공급망 혼잡과 국가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하고 있어요. 2월 파업으로 인해 회원 기업들의 운송비가 23% 증가했고, 매출은 25% 감소했다고 밝혔어요.
- 아시아
📊 동남아 SCFI 전주비 소폭 상승, 호주/중동 7주 연속 하락 동남아 SCFI가 전주와 동일한 수준인 441pt에요. 이는 전주비 1pt 상승한 수치에요. 중동향과 호주향 SCFI는 각각 8% 하락한 1,015pt, 10% 하락한 745pt를 기록했어요.
- 📈 아시아-남미서안 항로, 선복량 확대… 제조업 수요 대응
ONE과 Evergreen이 아시아-남미 서안(WCSA) 항로의 수요 증가에 맞춰 선복량을 확대하고 있어요. MDS Transmodal에 따르면, 아시아 제조업체들의 생산기지 이전으로 이 항로의 선복량이 최근 3년간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2025년 1분기에는 전년 대비 20% 늘어나 200만 TEU를 넘을 전망이에요. ONE은 3월 초 기존 8,900TEU급보다 50% 더 큰 13,828TEU급 신조선을 투입해 Premier 얼라이언스 내 하팍로이드의 공급량을 대체할 예정이에요. Evergreen도 2월 초 WSA5 노선 기항지를 확대하고, 리퍼 컨테이너 선복량을 늘릴 계획이에요. 한편, Xeneta에 따르면 아시아-남미 서안 스팟 운임은 2023년 9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요.
|
|
|
- 글로벌 항공 운임
📊 APAC발 항공화물 수요 회복… 글로벌 운임 상승세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가 전주 대비 1% 증가했어요. 특히 APAC발 수요가 6% 상승하며 전체적인 회복세를 이끌었지만, 중남미(-6%)·북미(-2%)·MESA 및 아프리카(-1%)는 감소했고, 유럽은 보합세를 보였어요. APAC 지역의 강한 회복세로 전 세계 평균 운임은 전주 대비 2% 상승해 $2.32/kg을 기록했어요. 연간 기준으로는 운임이 8%, 물동량이 9% 증가했지만, 음력 설 연휴 시기의 차이로 인해 정확한 비교는 어려운 상황이에요.
- 국내 시황
권역별 국내 항공 물류 상황을 요약해 드릴게요.
➡️ 미주향 : 2월 말 밀어내기 수요로 회복세를 보였지만, 공급 대비 수요가 부족해 운임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어요. 2월에는 약정 계약을 위한 전자상거래 운임이 낮게 유지됐지만, 3월부터 소폭 상승할 전망이에요. 특히, 3월 하반기에는 국적사의 약정 운임이 인상될 가능성이 커요. ➡️ 유럽향 : 중국과 한국발 수요가 전주 대비 회복세를 보이며, 중동향 화장품 수요도 꾸준히 유지되고 있어요. 국적사와 외항사의 운임은 강보합세 수준이에요. 또한, 중국발 유럽향 Sea & Air 화물(파리, 런던, 암스테르담, 리에주 등)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요. ➡️ 아시아향 : 일본 Qoo10 메가와리 행사(3/1~3/20)로 인해 일본향 공급 부족이 예상돼요. 또한, 아시아나항공이 3월 방콕향 공급을 축소하고, 에어프레미아도 방콕향 항공기 정비로 인해 일부 운항이 취소될 예정이라 운임 상승이 전망돼요.
- 중국 시황
중국발 항공 물류 상황을 권역별로 요약해 드릴게요. ➡️ 미주향 : 미주향 전반적인 수요와 운임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요. 로스앤젤레스는 전자상거래 및 일반 화물 수요 감소로 운임이 낮게 형성됐으며, 이원지역발 화물은 더 저렴한 운임이 적용되고 있어요. 뉴욕·시카고는 전자상거래 수요가 다소 증가해 운임이 소폭 상승했지만, 전체 시장은 여전히 저조한 상태예요. ➡️ 유럽향 : 전자상거래 수요가 계속 저조하며 운임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요. PVG(상하이)발 공급 축소로 인해 CA(중국국제항공)의 암스테르담(AMS)향 화물기 3대가 비운항되었어요. 하지만 이원지역발 전세기 공급이 회복되면서 전체 시장 운임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어요. ➡️ 아시아향 : 한국행 화물은 핀둬둬 플랫폼 프로젝트성 대물동 영향으로 시장이 활발하며 운임이 상승하고 있고, 동남아·일본향 전자제품 등 일반 화물 수요도 점차 회복되면서 운임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요.
주요 항공 뉴스 📌 폴라항공화물(PO) 운항 중단…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변화 예상 미국 아틀라스항공(5Y)과 DHL 익스프레스가 합작투자 항공사인 Polar Air Cargo(PO)의 운영을 18년 만에 종료하기로 합의했어요. PO가 보유한 운항 면허와 운항권은 아틀라스항공이 계속 유지해요. 아틀라스항공은 기존의 항공기 임대·운영사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DHL은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연료 효율성이 높은 B777F 운영을 확대하면서 합작 해체를 결정한 것으로 분석돼요. 현재 PO의 단항 이후 공급 운용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신시내티(CVG), 로스앤젤레스(LAX) 등을 허브로 운영되던 주요 노선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요. PO는 글로벌 항공화물 공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던 만큼, 이번 결정이 시장에 미칠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돼요.
📌 미국 무역 정책 변화, 전자상거래·항공화물 시장에 영향 확대
미국 정부의 무역 정책 변화로 중국발 미국행 전자상거래 화물과 항공화물 시장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요. 특히, 'de minimis' 조항이 폐지되면 항공화물 수요 감소와 비용 상승이 예상돼요. 이에 따라 Temu·Shein은 가격 인상, 미국 내 재고 확충, 베트남 등 생산 기지 이전 등의 대응책을 마련 중이며, 일부 품목 가격은 최대 50%까지 오를 수 있어요.
미국 정부는 지난 2월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정책의 일환으로 de minimis 조항을 일시 폐지했다가, 물류 인프라 부족 등의 이유로 다시 복원했어요. 하지만 폐지가 확정되면 운임 변동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에요. 현재 중국발 미국행 항공화물 운임은 2023년 8월 이후 처음으로 $5.0/kg 이하로 하락하며, 춘절 이후 일반적으로 운임이 오르는 흐름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한편,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적용을 검토하라고 지시했으며, 4월 1일까지 관련 보고서가 제출될 예정이에요. 이후 중국산 제품에 최대 60%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이 있어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예상돼요.
|
|
|
(주) 엘엑스판토스ask.pantosnow@lxpantos.com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8, LG광화문빌딩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