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 이번 주의 한 주 시황 요약이에요. 39주차 종합지수 2,135pt 로 6주 연속 님, 10월 1주차 미리레터가 도착했어요 📬
한 주간의 국제 물류 시황을 어려운 용어나 복잡한 수치 없이 전달해 드리는 미리레터로
매주 목요일 최신 물류 트렌드를 미리 보기 하세요 👀 |
|
|
해운
- 운임 : 39주차 종합지수 2,135pt 로 6 주 연속 하락(전주비 -10%)
- 수요 : 중추절 및 국경절 전후 예상비 수요 약세 가운데, 중동 갈등 및 미동안항만노조 파업 리스크 심화
- 공급 : 글로벌 항만 적체 수준 팬데믹 이후 최고치
- 운영 : 미동안항만노조(ILA), 10/1 00:01 부 동안 전역 파업 시행. 노조의 사측 제안 거부 및 무응답
|
항공
- 운임 : 한국발 수요 약세이나 월말 영향 및 중국 국경절 앞두고 수요 소폭 상승, 10월 운임 인상 전망
- 수요 : 베트남 , 태국 등 아시아발 북미향 Air & Air 수요 견조
- 공급 : 공급망 문제, 파업 등의 이유로 Widebody 항공기 인도 지연, 중장기 항공 화물 공급 제약 우려
- 뉴스 : Lufthansa Cargo '25년 1월 1일 부 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지속가능한 항공연료 ) 할증료 도입 예정
|
|
|
-
글로벌
🚨 미동안항만노조 파업의 영향 : 미동안항만노조(ILA)는 10월 1일부터 파업을 시행했어요. 노조는 사측의 61.5% 인상안에 대한 피드백이 없으며,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피켓 시위를 계속할 예정이에요. 바이든 대통령은 양측에 협상을 통해 파업 중단을 촉구했어요. 블룸버그에 따르면, 1주 파업 시 백로그 해소에 최소 4주가 걸리고 최대 75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보도했어요. 특히 자동차, 자동차 부품, 신선식품(바나나)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언급되었어요. HSBC는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선복 부족이 2025년 초까지 이어지며 운임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고 전망해요 🚢 아시아 중소형 선사들의 대응 : Hede, TS Lines 등 아시아 중소형 선사는 ILA 파업 우려로 인한 서안 우회 물동량 증가에 대응해 중국-미서안 Express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어요. Hede는 지난달 5척의 선박을 투입해 상해-LA를 연결하는 HDX 셔틀 노선을 개설했고, TS Lines는 8월에 개설한 AWC2 노선에 2척의 추가 선대를 투입했어요. ⛈️ 태풍 버빙카(Bebinca)로 인한 항만 적체 : Linerlytica에 따르면 태풍 Bebinca로 인해 중국 터미널 운영이 중단되면서 글로벌 항만 적체가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고 최고 수준에 이르렀어요. 9월 23일 기준, 글로벌 외항 대기 선대 규모는 300만 TEU로, 이는 글로벌 선대의 약 9.9%에 해당해요.
-
북미 📊 태평양항로 운임 전망 : 에버그린은 미동안 파업 및 중동 갈등 심화로 인해 ‘25년 태평양항로 계약운임이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해요. 현재 운임 조정은 조기 성수기 종료에 따른 일시적 하락이며, 희망봉 우회 장기화 및 이른 춘절로 인해 4분기에도 안정적인 수요가 예상된다고 덧붙였어요.
🖋️ 바이든 행정부, 중국산 제품 관세인상 :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5월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최종 승인했어요. 대부분의 인상안은 9월 27일부터 발효되며, 반도체 및 태양전지 관련 조치는 2026년에 발효될 예정이에요.
- 유럽
🗺️ 노선 변경 및 신조 선박 투입 : Hapag은 아시아-아프리카-북유럽을 연결하는 단독운항 노선 CGX에 9월 29일 출항하는 모선부터 Ningbo항을 첫 기항지로 추가할 예정이에요. OOCL은 24,188 TEU급 신조 선박을 아시아-북유럽 NEU1 노선에 투입할 계획이에요.
- 아시아
📉 해운 시장 약세 : 중동과 아시아역내 해운 시장의 약세가 지속되고 있어요. 이는 중동 및 중국계 신규 선사의 시장 참여와 아시아역내로의 원양 선박 회귀로 인해 공급이 증가한 영향으로 해석돼요.
- 남미
🇲🇽 멕시코, 미-중 무역 분쟁으로 최대 수혜 : CNBC에 따르면, 미-중 무역 분쟁의 영향으로 멕시코가 가장 큰 수혜를 받고 있다고 해요. 7월 누계 중국발 멕시코향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대비 26.2% 증가했으며, 2분기 멕시코발 미국향 컨테이너 물동량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
|
|
- 국제 시황
☑️ 아시아 베트남과 태국 등 아시아발 북미향 AIR&AIR 수요는 견조하나 운임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어요. 방글라데시에서는 시위로 인해 공급망이 중단되고 공항이 임시 폐쇄된 뒤 운영이 재개되었으나, 여전히 고운임이 지속되고 있어요. 전년 대비 운임은 163% 가량 상승했어요.
- 국내 시황
권역별 국내 항공 물류 상황을 요약해 드릴게요. ➡️ 미주 : 8미국 서부향은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동부향은 월말 밀어내기와 아시아발 수요 증가로 공급이 마감되며 운임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어요. 국적사는 10월 BSA 계약 원가 인상을 전망하고 있어요. ➡️ 유럽 : 한국발 유럽 수요는 약세를 보이나 해외발 수요는 강세로, 항공사들은 운임 인상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요.
|
|
|
(주) 엘엑스판토스ask.pantosnow@lxpantos.com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8, LG광화문빌딩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