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해상운임이 급락하며 조정 국면 글로벌 해상운임이 급락하며 조정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항공은 중국발 수요 회복과 공급 제약이 맞물리며 운임 상승이 예상됩니다. |
|
|
- SCFI 종합지수 1,870pt, 전주비 -10% 하락
- 해운 | 정시성 개선 난항 속 트럼프 휴전 발표로 중동 리스크 완화
- 항공 | 중국발 수요 점진적 회복세. 공급 부족 전망되며 운임 상승 전망
- 5월 미국 소매판매 -0.9% 감소, 하반기 소비 위축 우려 지속
- 미중 갈등에 따른 미국향 수요 둔화에 대응해 항공사들은 아시아-유럽 노선에 공급 확대
|
|
|
🚢 해운 운임 지표 - SCFI 상하이발 수출 기준, 글로벌 해운 운임을 대표하는 지표입니다.
|
|
|
✔ SCFI 종합지수는 전주 대비 -10% 하락한 1,870pt를 기록하며 2주 연속 하락 |
|
|
- 북미 : 북미향 공급 증가 및 수요 기대치 하회로 운임 약세
- 남미 : 6월 초 급등 이후 선사들 고운임 유지 시도 중
- 유럽 : 북유럽-지중해 운임 간극이 확대되면서 지중해에서 북유럽으로 물량 전환
- 아시아 : 중국발 서남아·중동향 수요 증가 및 공급 확대 제한으로 운임 강세 지속 중
|
|
|
🚢 해운 공급 동향 - 임시 결항
공급 축소가 운임과 수급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
|
✈️ 항공 운임 지표 - World ACD
글로벌 항공사 및 포워더의 실거래 기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며, 초기 발표 후 지연·정정 거래 반영으로 수치가 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
|
📰 주요 뉴스 브리핑
제목을 클릭하면 원문 기사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
이스라엘-이란 분쟁 여파… 항공 운항 차질 확대, 화물시장 영향은 제한적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로 이란·이라크·요르단 영공이 폐쇄되며 항공편 우회 운항 확대. 일부 중동계 항공사 및 중동 경유·직항 노선을 운영하는 유럽계 항공사는 노선을 일시 중단했지만, 한국 등 대부분 국가 항공편의 영향은 제한적
- 항공사, 미국 수요 감소에 대응해 유럽 노선 공급 확대
주요 글로벌 항공사들이 미국 항공화물 시장 수요 둔화에 대응해 유럽 노선 공급을 대폭 확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급 확대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
-
베트남 발 미국향 노트북 항공화물은 4월 6,900t으로 증가하며 2달 만에 약 75% 급증.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 재편
- 인도발 스마트폰 항공 수출 중국 추월 … Aevean, “4월 미국행 물량 2천톤 달해”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수요 확대와 인도 정부의 일련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은 결과
|
|
|
오늘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독자 여러분의 의견이 앞으로의 개선에 큰 힘이 됩니다. 간단한 피드백을 남겨주시면, 추첨을 통해 커피 쿠폰을 보내드립니다. ☕
|
|
|
|